맨위로가기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2009년 아시아 클럽 축구 선수권 대회로, 32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회 변경 사항으로 지난 대회 우승 팀에게 주어지던 자동 출전권이 폐지되었고, AFC 리그 운영 평가에 따라 출전권 배분에 차등을 두었다. 대한민국의 포항 스틸러스가 결승에서 알이티하드를 꺾고 우승했으며, 득점왕은 감바 오사카의 레안드로가 차지했다. 페어플레이 상은 포항 스틸러스가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 챔피언스리그 시즌 - 2002-03년 AFC 챔피언스리그
    2002-03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알 아인 FC가 BEC 테로 사사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AFC 챔피언스리그 시즌 -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AFC 소속 국가 상위 리그 우승팀과 컵 대회 우승팀들이 참가하여 알이티하드 FC가 알아인 FC를 꺾고 우승했으며, 알이티하드는 전년도 우승팀 자격으로 8강에 자동 진출하여 2년 연속 우승을 기록했다.
  • 2009년 축구 -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2010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개최되어 각 대륙별 우승팀 8개국이 참가하여 경쟁한 국제 축구 대회로, 브라질이 우승했다.
  • 2009년 축구 - 2009년 CONCACAF 골드컵
    2009년 CONCACAF 골드컵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이 주최하여 2009년 7월에 미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멕시코가 미국을 꺾고 우승했고 미겔 사바가 최다 득점, 히오바니 도스 산토스가 최우수 선수, 케일러 나바스가 최우수 골키퍼상을 받았다.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대회 명칭AFC 챔피언스리그
개최 연도2009년
대회 기간2009년 2월 18일 – 2009년 11월 7일
참가 팀 수35
참가 협회 수13
경기 수111
총 득점329
총 관중 수1396226
대회 결과
우승 팀포항 스틸러스 (3회 우승)
준우승 팀알 이티하드
개인 수상
득점왕레안드루 (10골)
최우수 선수노병준
대회 기록
이전 시즌2008년
다음 시즌2010년

2. 대회 변경 사항 (2009)

이전 대회까지 존재했던 지난 대회 우승 팀 자동 출전권이 폐지되었다.[3] 참가 팀 수가 28개 팀에서 32개 팀으로 증가하였다.[3] AFC의 리그 운영 평가에 따라 리그 수준이 낮은 국가들의 출전권이 축소되거나 없어졌다.[3] 일본, 대한민국,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이란은 리그 운영 평가를 바탕으로 동일 리그에서 최대 4개 클럽이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3] 반면, 리그 운영에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된 리그는 출전권이 1~2개에서 0.25개로 크게 삭감되었고, 출전권이 없어진 리그도 있다.[3]

3. 출전권 배분

AFC는 2009년과 2010년 시즌의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기준을 승인했다.[1] 각국 협회의 참가는 AFC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결정되었다.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에는 총 35개 팀이 참가했다.
출전권 배분


참가 자격이 있었으나 기준 미달로 참가가 무산된 팀

원래 자격
빈즈엉2008 V-리그 우승팀
무하라크2008 AFC컵 우승팀
사파2008 AFC컵 준우승팀


3. 1. AFC 평가 순위

AFC는 2009년과 2010년 시즌의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기준을 승인했다. 평가는 서아시아와 동아시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각국 협회의 평가
style="background: #90EE77;" width="20" |출전권 있음
style="background: #ffcccc" width="20"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출전권 없음



#협회점수 (총점 500)클럽수배정
조별리그예선 플레이오프AFC컵
1일본47018400
2대한민국44114400
3중국43116400
4사우디 아라비아36512400
5UAE35612310
6호주3438200
7이란34018400
8인도네시아29618110
9우즈베키스탄28916200
10카타르27010200
11싱가포르27912011
12태국22116011
13인도20210011
14베트남19114011



동아시아
서아시아
기준 충족 국가
기준 미충족 국가



각 협회별 자세한 평가 결과는 서아시아, 동아시아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1. 서아시아

리그플레이오프4사우디 아라비아365405UAE356317이란340409우즈베키스탄2892010카타르2702013인도202012008년 AFC컵 우승/준우승00합계참가 협회: 615217



서아시아 (그룹 A-D)
출전 자격출전 횟수
알 힐랄2007-08 사우디 프로 리그 우승5회
알 샤밥2008 사우디 국왕컵 우승
2007-08 사우디 프로 리그 3위
4회
알 이티하드2007-08 사우디 프로 리그 2위5회
알 이티파크2007-08 사우디 프로 리그 4위1회
알 샤밥2007-08 UAE 풋볼 리그 우승1회
알 아흘리2007-08 UAE 대통령컵 우승
2007-08 UAE 풋볼 리그 3위
3회
알 자지라2007-08 UAE 풋볼 리그 2위1회
페르세폴리스2007-08 페르시안 걸프 컵 우승2회
에스테글랄2007-08 하즈피 컵 우승2회
세파한2007-08 페르시안 걸프 컵 2위5회
사바 곰2007-08 페르시안 걸프 컵 3위2회
분요드코르2008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우승
2008 우즈베키스탄 컵 우승
2회
파흐타코르2008 우즈베키스탄 리그 2위7회
알 가라파2007-08 카타르 스타즈 리그 우승4회
움 살랄2007-08 카타르 아미르컵 우승1회
플레이오프 출전 팀: 서아시아
알 샤르자2007-08 UAE 풋볼 리그 4위2회
덴포2007-08 I리그 우승1회


3. 1. 2. 동아시아

순위회원
협회
점수
(총 500점)
클럽 수출전권
조별 리그플레이오프AFC컵
1 일본47018400
2 대한민국44114400
3 중국43116400
6 호주3437+1200
8 인도네시아29618110
11 싱가포르27912011
12 태국22116011
14 베트남19114002



A리그의 클럽 중 하나인 웰링턴 피닉스는 뉴질랜드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OFC 회원국이므로 AFC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할 자격이 없다.

동아시아 (그룹 E-H)
출전 자격출전 횟수
가시마 앤틀러스2008 J리그 우승3회
감바 오사카2008 천황배 우승3회
가와사키 프론탈레2008 J리그 2위2회
나고야 그램퍼스2008 J리그 3위1회
수원 삼성 블루윙즈2008 K리그 우승2회
포항 스틸러스2008 대한민국 FA컵 우승2회
FC 서울2008 K리그 2위1회
울산 현대2008 K리그 3위2회
산둥 루넝2008 중국 슈퍼 리그 우승3회
상하이 선화2008 중국 슈퍼 리그 2위5회
베이징 궈안2008 중국 슈퍼 리그 3위2회
톈진 테다2008 중국 슈퍼 리그 4위1회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2007-08 A리그 정규 시즌 우승1회
뉴캐슬 제츠2007-08 A리그 파이널 시리즈 우승1회
스리위자야2007-08 리가 인도네시아 프리미어 우승 및 2007-08 피알라 인도네시아 우승1회
플레이오프 출전 팀: 동아시아
PSMS 메단2007-08 리가 인도네시아 프리미어 2위1회
암드 포스2008 S리그 우승1회
프로빈셜 일렉트리시티 어쏘리티2008 타이 프리미어리그 우승1회


3. 2. 협회별 참가팀 배당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에는 총 35개 팀이 참가했다.
예선 플레이오프 (5팀):
조별 리그 (32팀):

다음 팀들은 예선 플레이오프 참가 자격이 있었으나, 기준 미달로 참가가 무산되었다.

원래 자격
빈즈엉2008 V-리그 우승팀
무하라크2008 AFC컵 우승팀
사파2008 AFC컵 준우승팀


4. 참가팀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에는 서아시아 지역 15개 팀, 동아시아 지역 17개 팀, 총 32개 팀이 참가했다. 이 대회는 AFC 챔피언스리그로 명칭이 변경된 2002-03 시즌 이후의 출전 횟수와 최근 출전 횟수만을 포함한다.[1]

조별 리그 순위는 승점이 같은 여러 팀이 있을 경우, 다음 기준에 따라 결정되었다.[1]

# 해당 팀 간의 승점

# 해당 팀 간의 골득실차

# 해당 팀 간의 다득점

# 조별 리그에서의 골득실차

# 조별 리그에서의 다득점

# 해당 팀이 2팀뿐이고, 최종전이 그 두 팀 간의 경기일 경우, 해당 경기에서 승부차기

# 조별 리그에서의 경고・퇴장 수

# 추첨

4. 1. 서아시아 (A-D조)

서아시아 (A-D조)
자격출전 횟수
조별 리그
페르세폴리스2007–08 페르시아 걸프 컵 우승2회
에스테그랄2007–08 하자피 컵 우승2회
세파한2007–08 페르시아 걸프 컵 준우승5회
사바 곰2007–08 페르시아 걸프 컵 3위2회
알힐랄2007–08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우승5회
알샤밥2008 킹 챔피언스컵 우승4회
알이티하드2007–08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준우승5회
알에티파크2007–08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4위1회
알샤밥2007–08 UAE 풋볼 리그 우승1회
알 아흘리2007–08 UAE 대통령컵 우승3회
알자지라2007–08 UAE 풋볼 리그 준우승1회
알 가라파2007–08 카타르 스타스 리그 우승4회
움 살랄2008 카타르 국왕컵 우승1회
분요드코르2008 우즈베크 리그 우승
2008 우즈베키스탄 컵 우승
2회
파흐타코르2008 우즈베크 리그 준우승7회
예선 플레이오프 참가팀
뎀포2007–08 I-리그 우승1회
샤르자2007–08 UAE 풋볼 리그 4위2회


4. 2. 동아시아 (E-H조)

동아시아 (E-H조)
자격출전 횟수*
산둥 루넝 타이산2008 중국 슈퍼 리그 우승3회
상하이 선화2008 중국 슈퍼 리그 준우승5회
베이징 궈안2008 중국 슈퍼 리그 3위2회
톈진 터다2008 중국 슈퍼 리그 4위1회
가시마 앤틀러스2008 J1리그 우승3회
감바 오사카TH2008–09 천황배 우승3회
가와사키 프론탈레2008 J1리그 준우승2회
나고야 그램퍼스2008 J1리그 3위1회
수원 삼성 블루윙즈2008 K리그 우승2회
포항 스틸러스2008 대한민국 FA컵 우승2회
FC 서울2008 K리그 준우승1회
울산 현대 호랑이2008 K리그 3위2회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2007–08 A-리그 정규 리그 우승1회
뉴캐슬 유나이티드 제츠2008 A-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1회
스리위자야2007–08 인도네시아 리그 프리미어 디비전 우승1회
예선 플레이오프 참가팀
PSMS 메단2007–08 인도네시아 리그 프리미어 디비전 준우승1회
싱가포르 아르메드 포스2008 S.리그 우승1회
PEA2008 태국 프리미어 리그 우승1회
* AFC 챔피언스 리그로 대회가 명칭이 변경된 2002/03 시즌부터의 출전 횟수(예선 포함)


5. 대회 일정

날짜경기
12월 18일예선 플레이오프 조 추첨
1월 7일조별 리그 조 추첨
2월 18일예선 플레이오프 준결승
2월 25일예선 플레이오프 결승
3월 10일 ~ 11일조별 리그 1일차
3월 17일 ~ 18일조별 리그 2일차
4월 7일 ~ 8일조별 리그 3일차
4월 21일 ~ 22일조별 리그 4일차
5월 5일 ~ 6일조별 리그 5일차
5월 19일 ~ 20일조별 리그 6일차
5월 27일16강전 (서아시아)
6월 24일16강전 (동아시아)
6월 29일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조 추첨
9월 23일 ~ 24일8강전 1차전
9월 30일8강전 2차전
10월 21일준결승 1차전
10월 28일준결승 2차전
11월 7일결승 (국립 경기장, 도쿄, 일본)


6. 예선 플레이오프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 예선 플레이오프는 동아시아와 서아시아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동아시아 지역


서아시아 지역

진출 자격
SAFFCS-리그 2008 우승, 동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승리
알샤르자UAE 리그 2007-08 4위, 서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승리


7. 조별 리그

조별 리그 조 추첨은 2009년 1월 7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렸다.

각 클럽은 같은 조의 다른 세 팀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두 번씩 경기를 치러 총 6경기를 치렀다.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승점 1점, 패배 시 승점 0점을 받았다.

승점이 같은 팀은 다음의 순서로 순위를 결정했다.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더 많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골득실 (원정 다득점 적용 안 함)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더 많은 골 득점 (원정 다득점 적용 안 함)

# 모든 조별 리그에서의 골득실

# 모든 조별 리그에서의 더 많은 골 득점

# 두 팀만 관련된 경우, 두 팀 모두 경기장에 있는 경우 승부차기

# 조별 리그 경기에서 받은 옐로 카드와 레드 카드의 수를 계산하여 더 적은 점수 (옐로 카드 1점, 2개의 옐로 카드로 인한 레드 카드 3점, 직접 레드 카드 3점, 옐로 카드 후 직접 레드 카드 4점)

# 추첨

각 조의 1, 2위 팀이 16강전에 진출했다.

7. 1. A조

bgcolor=#CCFFCC style="width: 20px;"|16강전 진출팀
bgcolor=#FFCCCC style="width: 29px;"|16강전 탈락팀



{|

|-

|

경기승점
나고야 그램퍼스6330104+612
뉴캐슬 제츠631265+110
울산 현대 호랑이6204410-66
베이징 궈안612345-15



|

 width="50"|width="50"|width="50"|width="50"|
베이징 궈안|1 - 12 – 00 - 1
나고야 그램퍼스0 – 0|1 - 14 - 1
뉴캐슬 제츠2 - 10 - 1|2 – 0
울산 현대 호랑이1 - 01 – 30 - 1|



|}

각 조의 1위 팀과 2위 팀만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조별 리그 대진은 2009년 1월 7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결정되었다.

각 클럽은 홈과 원정으로 같은 조의 세 클럽들과 두 번씩, 총 여섯 번의 경기를 치른다.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승점 1점을 얻는다. 만약 승점이 같은 팀이 있을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동점자를 가린다.

# 승점이 같은 팀 가운데 상대전적이 앞서는 팀

# 승점이 같은 팀 가운데 골득실이 더 큰 팀 (원정골은 적용되지 않음)

# 승점이 같은 팀 가운데 다득점을 한 팀

# 조별 리그에서의 골득실차

# 조별 리그에서의 다득점

# 승점이 같은 팀끼리의 승부차기

# 경고 및 퇴장의 수가 적은 팀

# 추첨

7. 2. B조

|1 – 1
5 – 1산둥 루넝0 - 12 - 0|5 – 0스리위자야0 - 32 – 44 - 2|


7. 3. C조

경기승점
가시마 앤틀러스6411166+1013
수원 삼성 블루윙즈6402128+412
상하이 선화622298+18
SAFFC6015419-151



 상하이 선화가시마 앤틀러스수원 삼성 블루윙즈SAFFC
상하이 선화|1 - 12 - 14 – 1
가시마 앤틀러스2 – 0|3 - 05 - 0
수원 삼성 블루윙즈2 - 14 – 1|3 - 1
SAFFC1 - 11 - 40 – 2|


7. 4. D조

경기승점
포항 스틸러스633073+412
가와사키 프론탈레6312107+310
톈진 터다622265+18
센트럴 코스트 마리너스6024513-82



}!!width="50"|JPN|일본어!!width="50"|KOR|한국어!!width="50"|CHN|중국어

|-

!style="text-align:right;"|센트럴 코스트 AUS|영어

!|

|0 - 5

|0 – 0

|0 - 1

|-

!style="text-align:right;"|가와사키 JPN|일본어

|2 - 1

!|

|0 - 2

|1 – 0

|-

!style="text-align:right;"|포항 KOR|한국어

|3 - 2

|1 – 1

!|

|1 - 0

|-

!style="text-align:right;"|톈진 CHN|중국어

|2 – 2

|3 - 1

|0 - 0

!|

|}

7. 5. E조

20:00 UTC+10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0 - 0 포항 스틸러스

센트럴코스트 스타디움, 고스퍼드

관중 수: 6,870

주심: 칼릴 알 감디

  • ---

2009년 3월 11일영어
19:00 UTC+9

가와사키 프론탈레 1 - 0 톈진 테다

레나치뉴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가와사키

관중 수: 12,125

주심: 모흐센 토르키

  • ---

2009년 3월 18일영어
19:30 UTC+9

포항 스틸러스 1 - 1 가와사키 프론탈레

김재성 데라다 슈헤이

포항 스틸야드, 포항

관중 수: 7,335

주심: 압둘라 알 힐라이

  • ---

2009년 3월 18일영어
20:00 UTC+8

톈진 테다 2 - 2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에베르 , 우웨이안 카세레스 , 사이먼

테다 축구장, 톈진

관중 수: 27,005

주심: 말리크 압둘 바시르

  • ---

2009년 4월 8일영어
20:00 UTC+10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0 - 5 가와사키 프론탈레

정대세 , 타니구치 히로유키 , 주니뉴 , 나카무라 겐고 , 레나치뉴

센트럴코스트 스타디움, 고스퍼드

관중 수: 9,419

주심: 라프샨 이르마토프

  • ---

2009년 4월 8일영어
19:00 UTC+9

포항 스틸러스 1 - 0 톈진 테다

황진성

포항 스틸야드, 포항

관중 수: 7,034

주심: 발렌틴 코발렌코

  • ---

2009년 4월 21일영어
19:00 UTC+9

가와사키 프론탈레 2 - 1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주니뉴 , 레나치뉴 사이먼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가와사키

관중 수: 8,419

주심: 파리드 알 모르조키

  • ---

2009년 4월 21일영어
20:00 UTC+8

톈진 테다 0 - 0 포항 스틸러스

테다 축구장, 톈진

관중 수: 19,831

주심: 모하메드 알 사이다

  • ---

2009년 5월 5일영어
13:00 UTC+9

포항 스틸러스 3 - 2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데니우손 콰스니크

포항 스틸야드, 포항

관중 수: 11,539

주심: 마수드 모라디

  • ---

2009년 5월 5일영어
19:30 UTC+8

톈진 테다 3 - 1 가와사키 프론탈레

마 레이레이 , 토마시 레나치뉴

테다 축구장, 톈진

관중 수: 15,717

주심: 타이예브 하산

  • ---

2009년 5월 19일영어
19:00 UTC+9

가와사키 프론탈레 0 - 2 포항 스틸러스

노병준 , 데니우손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가와사키

관중 수: 13,633

주심: 압둘라 발리데

  • ---

2009년 5월 19일영어
20:00 UTC+10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0 - 1 톈진 테다

마오 비아오

센트럴코스트 스타디움, 고스퍼드

관중 수: 5,843

주심: 무흐센 바스마

7. 6. F조

 {{lang|en|AUS|}
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득실차
알이티파크126402158+7
분요드코르8622259-4
세파한7621397+2
알샤밥76213611-5



2009년 3월 11일, 세파한은 알샤밥과의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하였다.[1] 같은 날 분요드코르는 알이티파크를 2-1로 이겼다.[2] 3월 18일, 알이티파크는 세파한을 2-1로 꺾었고,[3] 알샤밥은 분요드코르에 2-0 승리를 거두었다.[4]

4월 8일, 분요드코르와 세파한은 2-2 무승부를 기록했고,[5] 알이티파크는 알샤밥을 4-1로 크게 이겼다.[6] 4월 21일, 세파한은 분요드코르에 0-1로 패배했고,[7] 알샤밥은 알이티파크에 1-4로 졌다.[8]

5월 5일, 알이티파크는 분요드코르를 4-0으로 완파했고,[9] 알샤밥은 세파한에 2-1 승리를 거두었다.[10] 5월 19일, 세파한은 알이티파크를 3-0으로 이겼고, 분요드코르와 알샤밥은 0-0으로 비겼다.

7. 7. G조

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득실차
알이티파크126402158+7
분요드코르8622259-4
세파한7621397+2
알샤밥76213611-5



2009년 3월 11일, 세파한은 알샤밥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었고, 분요드코르는 알이티파크를 2-1로 이겼다.[1] 3월 18일에는 알이티파크가 세파한을 2-1로, 알샤밥이 분요드코르를 2-0으로 이겼다.[1]

4월 8일, 분요드코르와 세파한은 2-2 무승부를 기록했고, 알이티파크는 알샤밥을 4-1로 크게 이겼다.[1] 4월 21일, 세파한은 분요드코르에 0-1로 패배했고, 알샤밥은 알이티파크에 1-4로 졌다.[1]

5월 5일, 알이티파크는 분요드코르를 4-0으로 완파했고, 알샤밥은 세파한을 2-1로 이겼다.[1] 5월 19일, 세파한은 알이티파크를 3-0으로 이겼고, 분요드코르와 알샤밥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1]

7. 8. H조

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득실차
알이티파크126402158+7
분요드코르8622259-4
세파한7621397+2
알샤밥76213611-5

8. 토너먼트전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의 토너먼트전은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었다. 16강전은 각 조 1위 팀과 2위 팀이 맞붙는 방식으로, 조 1위 팀의 홈에서 단판 경기로 치러졌다. 서아시아와 동아시아는 분리되어 진행되었다.[1] 8강전부터는 추첨을 통해 대진이 결정되었으며,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강전 조 추첨은 조별 리그 조 추첨과 함께 2009년 1월 7일에 진행되었고, 8강전 및 남은 토너먼트 라운드 추첨은 2009년 6월 29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

8. 1. 16강전

16강전은 조별 리그에서 각 조 1위로 진출한 팀과 2위로 진출한 팀이 맞붙는 경기이다. 경기는 조 1위 진출 팀의 홈에서 단판 승부로 치러지며, 서아시아(A~D조)와 동아시아(E~H조) 팀들은 서로 분리되어 경기를 치른다.[1] 16강전 조 추첨은 2009년 1월 7일에 진행되었다.[1]

8. 1. 1. 서아시아

5월 26일에는 알힐랄 대 움살랄 경기가, 5월 27일에는 나머지 경기들이 치러졌다.[1]

팀 1결과팀 2
알힐랄0-0
(3-4 p)
움살랄
페르세폴리스0-1부뇨드코르
알이티하드2-1알샤바브
알이티파크1-2파흐타코르


8. 1. 2. 동아시아

모든 경기가 6월 24일에 치러졌다.[1]

팀 1결과팀 2
나고야 그램퍼스2 - 1수원 삼성
감바 오사카2 - 3가와사키 프론탈레
가시마 앤틀러스2 - 2
(4 - 5 p)
FC 서울
포항 스틸러스6 - 0뉴캐슬 제츠

[1]

8. 2. 8강전

8강전 대진 추첨은 2009년 6월 29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1] 1차전 경기는 9월 23일9월 24일에, 2차전 경기는 9월 30일에 열렸다.[1] 16강전과 달리 8강전 대진 추첨에는 어떠한 제약 조건도 없었다.[1]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움살랄4-3FC 서울3-21-1
가와사키 프론탈레3-4나고야 그램퍼스2-11-3
파흐타코르1-5알이티하드1-10-4
부뇨드코르4-5
(연장)
포항 스틸러스3-11-4


8. 3. 준결승전

1차전은 10월 21일, 2차전은 10월 28일에 치러졌다.

{| class="wikitable"

|+ 준결승전 경기 결과

|-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알이티하드''' || 8-3 || 나고야 그램퍼스 || 6-2 || 2-1

|-

| '''포항 스틸러스''' || 4-1 || 움살랄 || 2-0 || 2-1

|-

! colspan="5" | 경기 상세 정보

|-

| colspan="5" |

날짜 및 시간팀 1팀 2경기 결과경기장관중 수
2009년 10월 21일 19:50 UTC+3알이티하드6 - 2나고야 그램퍼스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잘 스타디움 (제다)18,265
2009년 10월 21일 19:30 UTC+9포항 스틸러스2 - 0움살랄포항 스틸야드 (포항)15,635



|}

관련 템플릿은 모두 제거했다.

두번째 표에서 불필요한 || 를 제거했다.

두번째 표를 첫번째 표 안으로 넣어 중첩 구조로 만들고, 가독성을 높였다.

8. 4. 결승전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2009년 11월 7일 일본 도쿄 도쿄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단판 경기였다.

9. 우승

3번째 우승



2009년 11월 7일 19시(일본 표준시)에 도쿄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포항 스틸러스알이티하드를 상대로 노병준과 김형일의 득점에 힘입어 2-1로 승리하며 3번째 우승을 차지했다.[1]

10. 득점 순위

순위선수클럽총 득점
1레안드로 감바 오사카10
2프린스 태고 알-에티파크8
3데닐손 포항 스틸러스7
4나세르 알-샴라니 알-샤밥6
5모하메드 누르 알-이티하드5
오가와 요시즈미 나고야 그램퍼스5
히샴 아부셰루안 알-이티하드5
데얀 담야노비치 FC 서울5
헤나티뉴 가와사키 프론탈레5
자이닛딘 타지예프 파흐타코르5
아라우조 알-가라파5


11. 페어플레이 상

포항 스틸러스[2]

참조

[1] 뉴스 2009 ACL draw – thrilling match-ups http://www.the-afc.c[...] AFC 2009-01-07
[2] 뉴스 Triple treat for Steelers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09-11-07
[3] 문서
[4] 뉴스 シャールジャACLから棄権 http://www.the-afc.c[...] アジアサッカー連盟
[5] 뉴스 シャールジャに厳重な処分 http://www.the-afc.c[...] アジアサッカー連盟
[6] 웹사이트 11 countries confirmed for new ACL http://www.the-afc.c[...] AFC 2008-05-20
[7] 웹사이트 AFC Professional League Project http://www.the-afc.c[...] AFC 2008-11-26
[8] 문서
[9] 문서
[1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